본문 바로가기

문화 ; 책장

어떻게 읽을 것인가 내용요약_저자 고영성

어떻게 읽을 것인가_저자 고영성/ 스마트북스/2015.12.30

 

◆ 독아 : 나를 읽다 "당신이 할수 있다고 생각하든 할수 없다고 생각하든 생각하는 대로 될 것이다"_핸리포드

-변화하는 뇌, 뇌의 가소성 : 나를 믿는 것은 나의 뇌를 믿는 것

-변화하고 움직이는 정체성 : 생각대로 될수 있으며 정체성의 변화는 생각보다 간단하게, 빠르게 변할수 있다. 그리고 변화하는 정체성으로 인해 능력또한 달라질수 있다.

 

◆ 다독 : 많이 읽다 "우리는 우리가 읽은 것으로부터 만들어진다"_마틴 발저

-책을 많이 읽으면 책 읽는 뇌로 변하고, 인터넷을 많이하면 인터넷하는 뇌로 변한다.

-다독은 계독으로 시작하자.

-계독 : 한 분야나 주제를 정해서 그 계보에 따른 책들을 많이 읽는 것. 한 분야의 준전문가가 될수 있다. 

 

◆ 남독 : 다양하게 읽다 "인간의 목표는 풍부하게 소유하는 것이 아니고 풍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_법정

-남독 : 특정 주제나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하게 책을 읽는 것

-남독은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을 키우는 독서방법

-남독은 다른 세계를 끊임없이 침범하며 자신의 세계를 넓히는 것, 그 과정에서 겸손을 배우고, 사유를 확장시킴

 

◆ 만독 : 느리게 읽다 "제발 부모들에게 간청한다. 아이에게 '서둘러'라고 말하지 말라"_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만독은 잘근잘근 씹는 독서법, 어느정도 다독이 된 후 추천함.

-예)초등학교 5학년이 6개월동안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공부함. 모르는 단어 찾아보고, 그 단어로 작문해보고, 책에 나오는 다양한 생물들을 체험하고, 책에대한 자신의감정을 글로 쓰고 발표하고 토론하고 그림그리고.

-성인을 위한 빠른 만독법

 1. 지금까지 읽었던 책 중에 십어먹고 싶은 책 선정. 두께는 중요하지 않는다.

2. 책을 바로 만독하지 않고, 만독할만한 책인지 다시 확인한다.

3. 선정한 책을 챕터별로 정리, 단순요약 말고 관련 주제를 담은 책이나 인터넷 자료 (논문 보고서 기사등)를 토대로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완성된 글로 만들어라. 글의 완성도는 민감해하지 말자. 다만 글은 무조건 완성시키자.

4. 글을 공개하자.

◆관독 : 관점을 갖고 읽다 "객관적 관찰은 가능한 것이 아니다"_로버트 루트번스타인

-관독1. 관점을 취하는 독서. 저자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것.

-관독2. 특정 관점을 가진 독서,

-관독활용법 : 책 필터링

◆ 재독 : 다시 읽다 "책은 두번 읽지 않으면 독서가 아니다"_마쓰오카 세이고

-"같은강물에 두번 발을 담글수 없다"_강물은 흐르고 사람은 변하기 때문이다.

-재독 : 자아의 시간여행,  달라진 나를 발견,

◆ 필독 : 쓰면서 읽다

-밑줄그으며 읽기, 메모

-독서가에서 필사가로 진화하는 과정

-필독으로 비망록 만들기

◆ 낭독 : 소리내어 읽다. "시는 나의 것이네, 하지만 친구, 자네가 그 시를 낭독할 때, 그 시는 마치 자네 것으로 보이네"_마르티알리스

-글쓰기의 마무리는 낭독으로

-낭독은 더 많은 에너지를 요구한다. 글의 깊게 이해해 작가와의 만남을 더 밀도 높게 만든다.

◆ 난독 : 어렵게 읽다

-온라인 난독으로 가는 지름길

-난독 해결법 : 책읽는 환경만들기, 읽다가 어려우면 다른 책 읽기, 그냥 참고 읽기

◆ 엄독 : 책을 덮으며 읽다 "노를 젓다가 노를 놓쳐 버렸다. 비로소 넓은 물을 돌아보았다"_고은

-엄독의 두가지 의미 : 독서의 자기화 추구하는 것, 다른 하나는 책을 덮고 여유를 갖고 휴식을 취하며 지속가능한 독서를 추구하는 것

-책을 덮고 생각하고 질문하기

-책을 읽고 충분히 수면하기 : 책속의 여러가지 자료와 정보를 기존의 지식과 통합하고 새로운 기억을 탄생시키는 시간